본문 바로가기

삶을 풍요롭게/문화 예술 방송

동의보감 세계기록유산 등재후에 할일은

728x90

   허준 주도로 편찬된 조선시대 불멸의 의학서 동의보감(東醫寶鑑,东医宝鉴)이 한국의 7번째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으로 등재됐다.

   문화재청은 31일(한국시간) 유네스코가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IAC)의 권고를 받아들여 한국이 신청한 《동의보감》초간본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지난달 29일 카리브해의 섬나라인 바베이도스 수도 브리지타운(Brige Town)에서 열린 제9차 회의에서 IAC는 《동의보감》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만장일치로 권고했다

   이로써 한국은 1997년 《훈민정음》과 《조선왕조실록》이 처음 기록유산에 등재된 이래 《직지심체요절》과 《승정원일기》(2001년),고려대장경판과 제경판 · 조선왕조의궤(2007년) 등 모두 7건의 세계기록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한국의 기록유산 등재건수는 아시아에서 가장 많고,세계에서는 6번째로 많아 문화선진국으로서 국가브랜드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에 등재된 《동의보감》은 국립중앙도서관과 한국학중앙연구원이 각각 소장하고 있는 25권25책씩의 초간본으로,보물 제1085호와 제1085-2호로 지정돼 있다.
 《동의보감》은 선조 30년(1597) 임금의 병과 건강을 돌보는 어의 허준(1546∼1615) 선생이 선조의 명을 받아 중국과 우리나라의 의학서적을 하나로 모아 편집에 착수하여 광해군 3년(1611)에 완성하고 광해군 5년(1613)에 간행한 의학서적이다.
 《동의보감》의 역사적 진정성과 세계사적 중요성,독창성과 기록정보의 중요성,관 련 인물의 업적 및 문화적 영향력 등이 높이 평가됐다고 문화재청은 전했다. 국가기관에 의해 작성 · 보관된 점,왕실 내장고에 있던 의서 500권을 바탕으로 120여종의 도서를 정리 · 인용하는 등 16세기 말까지 간행된 동양의학의 주요 의서를 집대성한 점,17세기 이후 가장 널리 사용된 의서로서 현재 동아시아 전통의학 보급 ·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점 등이 많은 점수를 땄다는 설명이다. 《동의보감》은 초간본 발행 이후 중국에서 30여차례,일본에서도 2차례 간행됐다.
   한편 유네스코는 이날 《동의보감》을 비롯해 영국의 '1215년 마그나카르타',네덜란드의 '안나 프랑크의 일기',독일의 '니벨룽겐의 노래' 등 35건을 세계기록유산으로 신규 등재했다

 

한국경제,연합뉴스를 참고로 편집

 

다음은 중국에서 나온 동의보감에 대한 뉴스이다. 연합뉴스 인용기사라 특별히 별도은 없다.

韩国药学史巨著成功申请世界文化遗产

   据韩联社31日报道,被誉为韩国药学史巨著的《东医鉴宝》已经成功申请联合国教科文组织世界文化遗产。

报道称,韩国文化财厅31日表示,在拉美巴巴多斯首都Bridgetown举行的第9次世界纪录遗产国际咨询委员会,决定登载韩国今年3月申遗的《东医宝鉴》初刊本。报道还称,“这是继《训民正音》、《朝鲜王朝实录》、《直指心经》、《承政院日记》、《高丽大藏经》版与制经版、《朝鲜王朝仪轨》之后,获得登载为世界纪录遗产的第7项韩国文物。”

《东医宝鉴》由朝鲜宣祖及光海君时代的著名药学家许浚于1610年编撰完成, 1613年正式刊行。该书共有二十五卷,二十五册,分内景篇﹝内科﹞、外形篇﹝外科﹞、杂病篇、汤液篇﹝药学﹞、针灸篇五大部分。

《东医宝鉴》在韩国医学史上的地位,被誉为足以和中国明朝李时珍的《本草纲目》相比,两书同样是记载各类草药的医书集大成之作。

출처 : http://www.huanqiu.com  환구시보 环球时报

 

   이번 등재는 참으로 축하할 일이다. 여기서 아직은 중국의 구체적인 반응이 안 나오고는 있으나 2006년만 하더라도 중국에서는 민감하게 한국의 동의보감의 세계기록유산 신청에 반응한 것으로 보인다. 

 

   다음은 바이두에 있는 동의보감의 구성과 내용 그리고 동의 보감의 참고가 된중국의서와 고려시대의 의서 소개 내용이다.  

《东医宝鉴》一书共有二十五卷,二十五册,分内景篇﹝内科﹞、外形篇﹝外科﹞、杂病篇、汤液篇﹝药学﹞、针灸篇五大部分。
  内经编:精、气、肾、血、津液等和五脏六腑的功能;
  外形编:可见部位的解剖、生理、病理学现象和相关疾病;
  杂病编:诊察法和病因,不包括在内经编和外形编的各种疾病、妇产科病和小儿科病;
  汤药编:当时用的各种汤剂;
  针灸编:针法和灸法。

《东医宝鉴》选方丰富实用,收载15类,1400多种药材。每方均注出处,并收录民间单方。此书主要参考中国医书如《素问》、《灵枢》、《伤寒论》、《证类本草》、《圣济总录》、《直指方》、《世医得效方》、《医学正传》、《古今医鉴》、《医学入门》、《万病回春》、《医学纲目》等83种和高丽医学古有的医书《乡药济生集成方》、《御医撮要方》等撰集而成,是朝鲜最佳的综合性传统医学医籍。


   동의보감은 본초강목《本草纲目》과 대비가 될 만하다. 본초강목은 중국 명()나라 때의 본초학자() 이시진(:1518∼1593)이 엮은 약학서(書)로 이시진의 사후 3년 뒤인 1596년에 발간이 되었다. 그러니까 동의보감이 본초강목보다 약 20여년 뒤에 나온 의서인 것이다 . 아뭏든 동의보감은 이제 세계가 인정하는 기록 유산이 되었고 우리는 이런 훌륭한 유산을 가진 민족의 후손이다. 그러나 이게 다가 아니지 않은가. 이제는 어차피 동의보감도 중의의 기초에서 나온 만큼 한의학의 발전을 위해서도 중의와의 교류가 잘 이루어지길 바란다.     

 

   이런 연유로라도 중의(中医)든 한의(韩医)든 서로 교류를 가지면서 전통 한의학이 좀 더 발전되었으면 하는 바람인데, 그러나 가장 중요한 부분은 역시 한국내 밥그릇 싸움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안을 만들어야 한다는 점이다 .모 침술의가 제도권의 자격을 얻지 않았다고 하여 무면허 시술을 한 상황도 그렇고, 한의에서는 중의 자격을 아직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이건 누가 보더라도 밥그릇 싸움이다.

 

   좀 더 발전적이 되려면 한의가 동의보감의 울타리가 아닌 더 새롭고 큰 범위의 동양의술을 중국이든 일본이든 같이 연구하고 개발하고 발전시키는 모델을 만들어 가는 것이 더욱 좋을 것이다. 중국의 경우도 한국보다 우수한 것은 아니지만, 동양의학과 서양의학이 병원 내에서 공존하면서 상생과 보완의 길을 걷고 있다. 즉 동양의학이 대체의학의로서의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더군다나 '중의학공정'을 통해 동양의학의 표준으로 만들어 가고자 하는 중국과도 대응해야 하는데, 이런 상황에서 우리만의 한의학을 고집스레 주장하는 것보다는 중국이나 일본등과 협력관계를 만들어 공동 표준을 만들고 과학화 하는 과정을 만들어가는 노력이 필요하지 않을까.   

 

   정리하면 한국내에서 한의들의 철통같은 자격 제한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며, 동의보감이라는 세계가 모두 공감하는 귀중한 역사 기록을 통해 중,일,한 삼국의 공동 협조와 연구를 통해 대체의학으로서의 동양의학을 정립하고 과학화하는 더 넓은 노력을 하는 것이 결국 한국의 한의학을 위해서도 좋은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 생각된다.    

2009.7.31 산만정품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