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여송 [李如松, ?~1598],자 자무(子茂). 호 앙성(仰城). 요동(遼東) 철령위(鐵嶺衛) 출생. 중국의 자료에 의하면 이여송은 1549~1598로 년대가 나와 있다.
1592년 닝샤[寧夏]에 발배(?拜)의 난이 일어났을 때 제독(提督)으로서 이를 평정하였다. 같은 해 조선에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제2차 원군으로 4만의 군사를 이끌고 조선에 들어와, 1593년 1월 평양성에서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일본군을 격파하여 전세를 역전시키는 데 큰 공을 세웠다.
그러나 벽제관싸움에서 고바야카와 다카카게[小早川隆景]에 패한 후로는 평양성을 거점으로 화의교섭 위주의 소극적인 활동을 하다가 그해 말에 철군하였다. 1597년 요동 총병관(總兵官)이 되었으나 이듬해 토번(土蕃)의 침범을 받아 반격 중에 전사하였다.
일설에 의하면, 그의 5대조는 명나라에 귀화한 조선 사람으로 성주(星州) 이씨(李氏)의 후예라 하며, 당시 조선 주둔중에 조선인 부인을 맞아 아들을 얻었는데 그의 자손들이 지금도 경상남도 거제시에 한 마을을 이루고 있다 한다.
---------------------------------------------------------------------
임진왜란 때 직접 군사를 이끌고 한반도에 들어아 왜군을 물리친 이여송(李如松ㆍ?~1598)은 한국계 인물인 것으로 밝혀졌다.
지금까지 이여송에 대해 ‘한국인 출신으로 경남 성주가 본관’이라는 설이 있었으나.현존하는 족보를 통해 관련 사실이 구체적으로 확인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충북향토사연구회 김예식(70) 회장은 향토사료 구축 차원에서 수년 전부터 충주 등 도내 북부지역의 세거 성씨 조사를 해오고 있다. 그는 이를 지역 주간신문에 게재, 지역민들의 콘 호응을 얻고 있다.
김 회장은 이 과정에서 ▶이 여송이 ‘벽진’(碧珍)을 본관으로 가진 한국계 출신이고 ▶직계선조가 중국으로 건너간 것은 이여송 조부인 ‘희길’(希吉) 때이며 ▶이후 중국 운남성에 정착한 사실을 �벽진이씨 족보를 통해 구체적으로 확인했다.또 직계선조 현길이 고려시대 때 중국 원나라로 들어간 것은 그의 부친(君常)이 모함받은 것에 분개,고향을 떠났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밖에 동생 ‘희경’(希慶)도 부친 연좌죄로 유배됐으나 억울함이 밝혀져 사면ㆍ복권됐다고 김 회장은 밝혔다.
그는 이같은 증거로 ‘碧珍李氏 大同譜 世系圖 上系’(벽진이씨 대동보 세계도 상계) 편 59쪽의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山花公의 曾孫 希吉이 원나라에 들어가서 운남에 살았는데 그 후손으로 李成樑이 있어 提督 如松을 보내어 우리나라를 구할 때에 본국이라고 일컬으면서 심력을 다해 힘쓴 뜻은 대개 의의가 있었다.
이중 중시조격인 ‘山花公’이라는 인물은 벽진이씨 11세로 문장이 매우 뛰어났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그의 한시는 중국 건축물 주련(기둥에 쓰는 글)에 자주 인용됐고 ‘동문선‘에도 그의 이름이 보이고 있다.
한편 일부 자료는 이여송의 본관을 ‘성주이씨’라고 적고 있으나 이는 ‘벽진’이라는 지명이 경남 성주군에 위치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벽진’은 현재 경남 성주군의 한 면(面)의 행정명이다.김 회장은 “족보 내용이 사실이라면 이여송에게는 한국인 피가 흐르고 있다”며 “무속에 이여송이라는 인물이 자주 등장하는 것도 이와 관련이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조혁연 기자 chohy@jbnews.com
------------------------------------------------------------------
어디에 실린 이여송장군 후손이한국을 방문, 성주이씨 대종회에서 만남을 가진 사진으로 보인다.
리쩌멘(李澤綿),명(明) 이여송 장군 13대손 인터뷰
http://blog.naver.com/kyoo49 에서 인용
지난 5월 12일, 경북 안동시 탈춤공원에서 ‘서애 유성룡 서세 400주년 추모 행사’의 일환으로 임진왜란 시기에 전쟁을 한 한중일 삼국의 후손이 손을 맞잡은 ‘400년만의 화해’라는 행사가 있었다. 이 행사에 참석한 명나라 이여송 장군의 13대 후손인 리쩌멘(李澤綿·46)씨와 리스거(李士革·41)씨 일행이 5월 14일 노년시대신문사를 방문했다. 본지 발행인 이 심 회장과 환담한 뒤 영빈관인 ‘전원속의 내 집’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두 사람은 관향인 성주와 행사 도시 안동을 둘러본 소감과 중국 성주이씨 후손들의 400년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중국 랴오닝성의 철령시 일원에는 한국의 경상북도 성주를 관향으로 한 이씨들이 살고 있다. 자신들은 철령이씨라고 하는데, 600여년 전 이곳에 관리로 갔던 성주 출신 이 영(李 榮)이 눌러앉아 오늘까지 후손을 잇고 있는 것이다.
철령의 성주이씨 후손 리쩌멘 씨는 이 영에 대해 “천호관으로 지휘첨사였다고 알고 있다”며 한자로 千戶(천호)와 指揮僉事(지휘첨사)라고 써서 보여주었다.
그렇다면 조상이 한국에서 왔다는 것을 어려서부터 알았을까.
“어렸을 때 듣기는 했지만 1980년대에서야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경북 성주가 본관이라는 것은 1992년에 고구려연구회회장인 서길수(徐吉洙·서경대 교수)씨를 통해 알았다.”
사회주의 중국이 개방화의 길로 들어서던 무렵부터 조상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다는 이야기다. 명나라 이여송 장군의 후손이 조상의 뿌리도 잘 알지 못할 정도의 한미한 가문으로 몰락한 것인가. 물론 아니다.
“명나라 후기에 1품 이상의 관직에 오른 사람이 14명이나 될 정도로 영향력이 있는 세도가였다. 청나라 때에도 10여명이 1품 이상의 관직에 올랐고 7품 이상의 관직에 나간 사람은 200여명이나 된다.”
리쩌멘씨는 이여송보다 그 부친인 이성량이 중국에서 더 지위가 높고 지명도도 있다고 했다. 지금도 랴오닝성 철령에 이성량을 배향하는 사당과 비석이 남아 있다. 사당은 최근에 중국 정부 당국이 인민폐 20만 위안을 들여 보수하여 문화재로 지정 보호하고 있고, 비석은 문화혁명 때 훼손을 막기 위해 땅에 파묻어 두었던 것을 복원한 것이다.
재미있는 것은 후금, 즉 청나라를 세운 누르하치가 이여송의 부친인 이성량 밑에 있었다는 사실. 리쩌멘씨는 누르하치가 이성량의 의자(義子)였다고 한자로 써 보여주었다. 이를 통역은 양자(養子)라고 했다. 어느 경우든 누르하치가 이성량의 수하에서 성장하여 청나라를 세웠던 것은 역사적인 사실이다.
리쩌멘씨는 “이성량 장군과 아들 이여송이 살아 있을 때는 누르하치도 철령을 넘지 못했다”며 “청나라 중기의 이 개는 대 문장가로 유명했고, 강희제(康熙帝·제4대 황제)의 동비가 성주이씨인 이사충의 부인을 고모라고 했다”고 한다. 청나라의 핵심 권력과 혼인정책으로 묶였을 정도로 이들이 세도 있는 가문이었다는 말이다.
통역의 도움으로 리쩌멘씨와 대화를 나눠봤다.
▷성주이씨 이여송 장군의 후손이니 이번에 한국에 오면서도 자부심을 느꼈을 것 같다.
“물론이다. 연고의식을 했다. 마치 고향에 돌아오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성주이씨에 대한 연구를 많이 한 것으로 안다. 연구할만한 족보나 자료가 있는가
“국가 도서관에 자료가 많이 있다. 또 한국 성주이씨 대종회에서 보내준 족보를 통해 알게 됐다. 그리고 지금 나한테 성주이씨 미공개 자료도 있다.”
▷그 자료에 무엇이 있을지 기대된다. 그렇다면 철령의 성주이씨 후손들은 주로 어느 분야에서 종사하는가
▷본관지인 성주를 다녀왔는데 그 느낌이 어떻던가.
▷조상을 참배했는데, 중국식 예법이었는가 한국식으로 했는가
“한국식으로 했다. 우리와는 완전히 달랐다. 돌아가신 분에게 돈을 바친다는 뜻으로 돈을 태우고, 제사 마지막에 술잔의 술을 뿌리며 도는데 그런 것도 안 했다.”
▷명나라 시절의 유교적 제례였는데, 알만하지 않던가
“알고는 있다. 중국에서는 생활화되지 않고 없어진 지 오래다. 특히 시장이나 군수 등 관헌이 그런 도복을 입고 제사를 지내는 일은 없다.”
▷한국을 본 느낌이 어떻던가
“환경이 깨끗하고 아름답다는 느낌이 들었다. 안동은 한국 유교 전통문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곳 같았다. 유교문화가 생활화 된 분위기가 좋아 보였다.”
▷대단한 명문가였는데 지금은 인구도 적고 가세도 한미해 보인다.
“청대 후기 이후부터 근세 동안 정변들이 발생하면서 세력다툼에 밀렸기 때문이다.”
▷한국드라마를 보았나. 성주가 본관이니 더 재미있고 뜻 깊었을 것 같다.
“‘대장금’은 정말 재미있었다. 물론 성주이씨이기 때문에 더욱 재미있었다.
▷한국 성주이씨 대종회와의 혈연적인 연고를 활용할 계획이 있는가
“개인적으로는 장편소설(‘고구려왕사’라는 두꺼운 원고를 보여주었다)을 한국에서 출판했으면 한다. 출판을 원하는 출판사가 있지만 지금은 고구려 관련 책을 출판하지 못한다. 정치적인 내용이 전혀 없어도 안 된다. 도움 받고 싶다.”
▷철령의 이씨들이 한국어를 배울 기회는 없는가
“있다. 철령 인구의 6% 정도가 조선족이다. 조선중학교와 조선예술관도 있다. 도움을 받을 수 있다면 철령에서 한국어학원 같은 것을 해보고 싶다.”
인터뷰 말미에 성주이씨 이시욱 대종회장이 리쩌멘씨와 리스거씨 등 중국 성주이씨 후손들을 매개로 현지에 인도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하고, 두 사람에게 각각 금일봉을 전했다. 리쩌멘씨와 리스거씨는 ‘대장금’을 촬영했던 궁궐을 둘러보고 부인들에게 줄 화장품 등 선물을 사러가야 한다고 서둘러 자리를 떴다.
박병로 편집국장
리쩌멘씨는…
▷성주이씨인 이여송의 13대 후손.
▷1961년 중국 랴오닝성 철령에서 출생
▷고구려 연구가, 소설가
▷랴오닝성역사학회 회원
▷철령현 작가협회 부주석
▷출판 저작물 4부, 학술논문 25편 발표
▷문학작품 30여편 발표
▷소설 ‘李成梁及其家族’, 산문집 ‘兩個開原人’ 저자
---------------------------------------------------------------------
이여송장군에 대한 관심이 여기까지 왔는데, 과연 그가 성주이씨가 맞는지, 아니면 벽진이씨가 맞는지?
분명한 건 그의 조상이 조선인이었다는 것이다.
대세는 성주이씨로 되어가는 느낌이다.
'시사 관심꺼리 > 정치군사사회역사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리장성의 허구를 말한다 (0) | 2007.07.22 |
---|---|
중국의 한족의 현재와 그에 대한 이견 (0) | 2007.07.22 |
중공중앙 전국인대상위회 국무원 황쥐(황국) 별세 (0) | 2007.06.02 |
인공태양과 중국 그리고 한국 (0) | 2007.05.22 |
흑치상지에 대해 (0) | 2007.05.13 |